5. 함수, onclick, onmouse, onfocus, onkey, Date(), Number(), Math, miniproject06
https://github.com/upcake/Class_Examples
교육 중에 작성한 예제들은 깃허브에 올려두고 있습니다.
gif 파일은 클릭해서 보는 것이 정확합니다.
- myFunc(x, y)에서 x와 y를 매개 변수라 하고 인수 값을 전달받아서 함수 식에 적용하는 역할을 한다.
- 함수 내의 return은 함수에서 출력된 결과와 함께 함수가 실행된 행으로 되돌아가는 역할을 한다.
- return 밑의 함수 내용은 작동하지 않는다.
- 재귀 함수는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을 다시 부르는 함수를 말한다.
- 전역 변수는 함수 밖에서 선언된 변수, 지역 변수는 함수 내에서 선언된 변수를 뜻한다.
- 지역 변수는 함수 밖에서 쓸 수 없다.
- onclick="함수();" 클릭할 때 함수를 작동한다.
- onmouseover="함수();" 마우스를 위에 올릴 때 함수를 작동한다.
- onfocus="함수();" 키보드 초점이 맞춰졌을 때 함수를 작동한다.
- onmouseover="함수();" 마우스를 위에 올릴 때 함수를 작동한다.
- onmouseout="함수();" 마우스가 밖으로 나갈 때 함수를 작동한다.
- document.onkeydown = function(e) {} 아무 키나 입력되었을 때 함수를 작동하게 한다.
- getMonth() : 현재 월 - 1
- getDate() : 현재 일
- getDay() : 현재 요일
- Number.MAX_VALUE : 표현 가능한 가장 큰 수
- Number.MIN_VALUE : 표현 가능한 가장 작은 수
- Number.NaN : 숫자가 아닌 경우의 표기
- Number.POSITIVE_INFINITY : 양의 무한대 수 표기
- Number.NEGATIVE_INFINITY : 음의 무한대 수 표기
- parseInt() : 정수 타입으로 캐스팅하는데 숫자로 바꿀 수 있는 부분 중 정수부만 가져옴
- parseFloat() : 실수 타입인 float 타입으로 캐스팅하는데 숫자로 바꿀 수 있는 부분 중 소수부만 가져옴
- Math.max(a, b, c, d) : a, b, c, d 중 가장 큰 수
- Math.min(a, b, c, d) : a, b, c, d 중 가장 작은 수
- Math.round(x) : x를 정수로 반올림
- Math.floor(x) : x의 소수부를 버림
- Math.ceil(x) : x의 소수부를 올림, 페이징 기법에서 자주 사용한다.
- Math.random() : 0부터 0.999... 까지의 임의의 수
- Math.PI : 상수 PI